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그나마 작은 성의※ 98. 그나마 작은 성의 *문제해결은 크거나 광대한게 아니라 작은 성의로부터 해결된다. *작은 문제하나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들어가야 한다. *문제해결이 잘 안될 경우 목표점의 반만 해결 한다면 지나고 나서 보면 여유가 생긴다. *인간이 할수있는 것을 해야한다. *십시일반 더보기
※냉각※ 97. 냉각 *냉각수 *랜덤성을 포함하고 있다. *유류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기계에는 반드시 냉각이 필요하다 왜?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른말로 휴식이라 할수 있다. *결론은 기계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뭐니뭐니해도 압력의 저하가 문제의 안정성을 가져온다. *비중이 큰기계는 냉각장치에 더신경쓸 필요가 있다. 더보기
※하나를 알아야 열을 안다※ 96. 하나를 알아야 열을 안다. *우선순위 *처음부터 급하게 먹으면 체한다. *큰문제부터 해결하고 후속문제는 차근차근 해결해 나간다. *기본에 충분히 충실하는것. *자기방어권. *생존권. *본인 스스로 할수 있는 일 *기본에 충실하지 못하면 고정관념이나 탁상공론에 빠질수 있다. 현장상황도 못파악하고 대안을 내놓을 경우다. *되는 부분부터 체크해 나간다. *기본에 충실하지 못한 생각이나 시뮬레이션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 이런 경우는 비중을 간과해서 일어날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 *비중이 큰 문제를 해결하여 작은 문제들은 덤으로 해결되거나 천천히 해도 된다. 더보기
※직접※ 95.직접 *밥은 밥상을 직접 채려 먹어야 더 맛있다. *남이 채려준 밥상은 미각만을 자극한다. *directly *문제해결은 밥과 반찬을 차려 한상 내놓는 것이다. ------>여기서 밥을 먹는 사람은 평가자나 판단자이다. 밥맛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사람이 전문가이다. *문제해결은 인지 과정 확인 전과정을 참여하여 해결한다면 그 기분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것이다. *직접하면 오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해결의 기본은 본인이 많은 문제에 직접 직면해 있느냐는 것이다. 그리고 그경험상 많은 문제해결을 하고 빅데이터가 있느냐가 관건이다. *바이패스. 리버스. 보존 3ㅡㅡㅡㅡㅡㅡㅡㅡ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인간은 지식능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수를 할수 가 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 직접 행.. 더보기
※편안한 마음※ 94.편안한 마음 *불편함도 문제를 해결하지만 정신의 집중을 위해서 편안한 마음이 요구된다. *문제가 해결이 되든 안되든 안정된 마음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결과는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한가지 문제만 해결할 것이 아니라 다른 문제도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담이 없는 마음 *문제를 해결하여 편안한 마음 되게 해야 한다. *편안한 마음은 문제해결 전이나 후에도 필요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편안한 마음이 필요한 이유는 사고나 문제가 맞다면 반드시 풀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사고시점이나 문제의 발생시점에서 문제인지를 바르게 가져오기 위해서 편안한 마음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사고를 결론이나 결과로 받아드려 한계화 하지말고 이또한 하나의 과정이다 라고 생각해야 바른 결과를 가.. 더보기
※신념※ 93. 신념 *신성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일을 한다는건 신성함을 느껴야 한다. *현장에서 느낀점을 뼈에 각인되도록 생각하고 상상한다. *흐름을 수치화 되는것을 현장에서 뼈에 각인되도록 생각해봐야 한다. *무의식적인 의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 *맹목적인 사랑 *문제해결은 해두 되고 안해도 되고가 아니라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신념이 필요하다.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3ㅡㅡㅡㅡㅡ3ㅡㅡㅡㅡㅡㅡㅡ *나의 생각이 틀릴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틀릴수도 있다 생각하여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은 생각 더보기
91 ※보는것※ 91. 보는것 *색의 변화. 색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색의 구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보는것이 문제인지의 기본이자 문제해결이다. *본다는것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를 객관적으로 본다. *관심을 가지는 것. *현장을 직접 보는것. *현장에서는 무슨 일이든 일어날수 있다. *보는 기준점 ------>보는 사람. 보기싫은 사람. 안보는 사람 *시야및 공간을 확보 하는것. *보면서 색을 구분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본다는 것은 색을 구분한다는 의미다. 색이 일관성을 가지는지 유.무와 랜덤성을 가지는지를 보는것이다. 색에 일관성이 있어도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생각해야하고 랜덤적 이래도 일관성이 있다면 정확성이 있다 할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색에 일관성이 없다라면 문제가 있다 할것이다. *.. 더보기
※섬세함※ 90. 섬세함 *문제인지를 잘하는 것. *섬세한 사람이 문제인지를 잘한다.. 그렇다고 문제해결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하게 표현하는 것. *문제해결을 잘하는 것. *문제를 둘로 나누는 것. *결과를 둘로 나누는 것. *거시적접근이 된후에야 미시적접근이 좋다. *detail *미시적 접근방법 *미세한 차이 더보기
89 ※문제인지※ 89. 문제인지 *문제인지가------>문제해결이다. *문제인지가 제대로 안되서 문제해결이 안되는 것이다. *E------>E *리더의 문제해결 우선순위 일순위인가 이순위인가 *편협성. 지엽성 이익이 아닌 공통의 문제인지가 중요하다. *문제인지는 문제해결하는 사람이 제기된 문제의 타당성 검토다 *문제인지는 포괄성을 내재하고 있어야 한다. *문제를 말하는 사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문제인지를 잘하는 사람이 문제 해결을 할수 있다고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 *문제인지를 잘하는 사람은 섬세하다 할수있다. *문제인지는 늦더라도 문제해결은 빨리 하는 사람이 있을수도 있다. *문제인지의 기초는 그 문제에 있어 관심을 가지느냐 마느냐다. *문제인지는 됐는데 문제해결이 안된다? 그건 어불성설이다. *문제인지를 미시적.. 더보기
89 ※인정※ 88. 인정 * 모든 문제는 솔직함에서 출발한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이유는 솔직하지 못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프레임에 쌓여 솔직한 생각과 행동에 나서지 못한다. *인간사 인정하기도 어렵고 인정받기도 어렵다. 상식적으로 공통분모를 찾아야 한다. *믿는 사람. 믿기 싫은 사람. 안믿는 사람 *인간과 기계 중에서 문제인지능력이 누가더 나을까? 인간은 오감을 이용하지만 기계는 인간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안에서 획일성과 일관성이 있다. 그러나 인간은 생각하고 상상할수 있다. *인간은 생존욕구와 소유욕구가 있어 쉽게 인정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다른 사람이 인정하든 인정안하든 문제해결을 하는 자세와 각오가 필요하다. *보통은 인정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문제해결을 위해 인정이 필요 하다. *인간은 때론 .. 더보기
87 ※일※ 87. 일 *일은 머리로 하는거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머리를 쓰는 것이다. *일을 한다는 의미는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일이 곧 문제해결이고 문제해결이 곧 일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일을 한다는 의미이다. *누구나 문제해결을 할수있고 아무나 할수 있다. *일은 머리로 해야한다. *나이와 상과없다. *경력. 성별. 등등과 하등에 관계없다. *현장은 움직여야 한다. *문제해결은 사람, 조직, 사회 등등을 움직여야 한다. *일은 한가지 사안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인의 이익을 가져오는것. *본인의 이익을 만들어 가는것.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일을 준다. *밥을먹고 난후에 계산하는것이 정석이다. 그게 일이다. *무슨 일이든 하고나서 이야기하고 밥먹을 준비를 해야 한다. ※누구.. 더보기
86 ※구심점※ 86. 구심점 *정책 결정의 일관성을 갖는다. *브레인의 단순성 *정보 전달의 명확성을 유지시킨다. *정보나 의사전달의 일관성 *리더 *권위보다 더큰 의미로 본다. *그 어느 조직의 장 *당겨오는 능력을 가진 사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더보기
※인간의 감각※ 85. 인간의 감각 *시각.청각.미각.후각.촉각 * P ------>E 앞으로는 EP시대에서 PE시대가 대세를 이루어 지리라 믿는다. *일도 오감으로하고 문제해결도 오감으로 한다. 더보기
84※문제해결※ 84. 문제해결 *일반적으로 계급이나 지위가 높을수록(정보.빅데이터) 문제해결을 많이 하지만 특수한 사고의 경우 꼭 그렇지만은 않다. *문제해결자의 백마디 말보다 시뮬레이션 결과치 한가지 사실이 더 중요하다.(백문이 불여일견) *누군가는 결과를 알고 있는 사람이 있을수 있다. *누군가는 문제를 쉽게 풀수 있다. *편안함이나 고통과 어려움이 문제해결을 할수 있다. *꼭봐야 문제해결을 할수 있다. *꼭안봐도 문제해결을 할수 있다. *보던 안보던 다른사람의 이익을 위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문제에 대해서 많이 안다고 해결하는건 아니다.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한단어로 압축하거나 지정하는 것이다. 물론 한문장으로 서술적으로 말해도 된다. *결과, 결론을 확인하는것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무에.. 더보기
※반론※ 83. 반론 *반증 *반대되는 생각 *결론이나 결과가 안나왔을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른 생각을 듣거나 다른 생각을 하는것은 내 생각이 맞을 수도 있다는 자신감이나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도 있다. *다양한 의견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할수가 있다. *문제해결자의 말에 반론제기시 제기자가 나중에 후회안할 일을 하는것이 문제해결이다. *협력이라는 전제하에 제기되는 의견 *외부전문가 ㅡㅡㅡㅡㅡㅡㅡ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 *궁금한점 알고싶은점. *문제가 해결 되었다면 기픔과 고통 둘중에 하나는 있어야 한다. 즉 반증이 있나를 확인하는 것이 문제 해결자의 몫이다. 더보기
82※메모※ 82. 메모 *기록 *일반적인 메모는 미래에 닥쳐올 위험요소나 문제해결을 신속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인 상식 방법론을 적는다. *문제해결을 미리 적는 것이다. *메모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해결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래의 어느 한시점을 미리 적는 것이다. *전문적인 사실이나 사안 보다는 일반적인 이고 상식적인 생각.행동.행태등을 가장 알아보기 쉽거나 편안하게 적는게 좋다. *그림.숫자.영어등등을 섞어 적으면 나중에 이해할때 빠르게 문제인지나.문제해결을 할수 있다. *기계의 경우에는 E=P에서 50=50으로 공통적으로 중요도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좋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메모가 반드시 필요하다. 왜? 인간은 지식을 기억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어느 한시점을 추정할수 있.. 더보기
81 ※그만한 이유※ 81. 그만한 이유 *문제를 해결하는 이유 *문제를 해결 못하는 이유 *문제해결은 그만한 이유를 찾는 것이다. *반드시 이유가 있다. *패널티 *환경적인 이유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이유가 있다. *순수성과 목적성 때문에 문제를 해결 못하는 이유가 있다. *문제라면 해결 안될 이유가 없지않나 싶다. *문제가 해결되는 이유가 있다. *누군가는 문제를 반드시 푼다. *누군가는 문제가 우스워 보일수 있다. *이유없는 사고는 없지 싶다. *사고에 그만한 이유가 반드시 있다. *세상에 쉬운일은 없다.. 반드시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들만의 이유 *아무리 랜덤성 이유래도 그만한 이유가 있다. 더보기
80 ※백업 시스템※ 80. 백업 시스템 *생존에 필요한 이중 안전장치 *ex)센서 감지에 의한 알람발생 *미완성 성질을 안정적으로 도와준다. *협업 *보조자 *조력자 *동료 *권위와 상관없이 도와주는 사람이나 기계 *E------>P, E/P장치, 센서 *희생을 담보로 도와주는 사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모의 자애로운 사랑 *미래를 걱정하는 마음 더보기
79 ※결과※ 79. 결과 *결과는 간단하다. *결론 *성과 *결과는 정해져 있다. *알고 보면 무지무지 간단하다. *일반적인 상식안에 다있다. *문제는 간단하고 쉽게 풀어야 한다. *결과를 있는 그대로 볼것. *결과를 거시적으로 한차원 높게 볼것. *결과를 한단어로 찝을수 있어야 한다. *결과는 간단하지만 무지무지 중요하다. 결과를 보면 사고의 원인을 가늠해볼 수 있다. *마지막 선택이 중요하다. *결과가 중요하다. *기존의 결과나 결론을 바꾸는 것이 문제해결이다. *열매는 달지만 과정은 고통스럽다. *결과가 간단하면 과정도 간단하다. 인간은 무한상상의 동물이다. *무너뜨리기는 쉽지만 쌓기는 어렵다. *결과가 간단하면 과정 또한 간단하다. 방법 또한 간단하다. *수치화된 부분에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거시적으로 수치가.. 더보기
※권위※ 78. 권위 *내재 요소로써 겸손. 실력. 성과 *카리스마 *license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문제를 해결 하지 못한 사람의 사실에 근접한 말보다 문제를 해결한 사람의 평범한 말이 더 합리적이다. 더보기